blog

all + 131

  1. 2016.11.09
  2. 2016.11.09
  3. 2016.11.08
  4. 2016.11.06
  5. 2016.11.05
  6. 2016.11.05
  7. 2016.10.31
  8. 2016.10.30
  9. 2016.10.24
  10. 2016.10.24
2016. 11. 9. 15:39



"안팎으로 어수선한 수욜 아침이네요. 생각으로, 말로, 행동으로 시험들지 않도록, 실족하지 않도록 오늘 하루 모두 하나님 안에서 평안하기를 축복합니다. 순간순간 성령님의 인도하심으로 승리하기를 축복합니다. 한국도 미국도 MU도 우리의 기도가 필요한, 우리에게 주신, 우리의 소속입니다. 더 크고 넓은 비젼을 그리며 아버지의 뜻이 이루어지길 기도합니다. 

***

오늘 우리에게 주어진 할일에 감사하며 최선을 다해 오늘 하루 잘 지내길 바랍니다."


위안이 되는 집사님의 카카오톡 메세지. 


'journ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nuary 15, 2017  (0) 2017.01.15
12/21 - 1/4  (0) 2017.01.05
선거일  (0) 2016.11.09
27.9  (0) 2016.11.08
10/29 - 11/4  (0) 2016.11.05
2016. 11. 9. 03:51




나는 비오는 날이 가장 좋다. 특히 이런 가을 아침에 우산들고 노래 들으며 걷을 땐 행복하기까지 하다. 

볼이 적당히 얼얼해지는 기분이 좋아 ^~^ 


여전히 루시드폴 노래를 자주 찾아 듣고 있다. 

어쩐지 청승맞고 외로운 곡들만 잔뜩 들었는데 이 사람은 사랑 노래도 참 잘 짓는구나. 


이제 나 보이나요 이미 다 얘기했는데 

그래도 모른다면 나 또 잊을까요? 


이 부분이 너무나 좋아서 걷다 깜짝 놀랐다. 


'journ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21 - 1/4  (0) 2017.01.05
the mourning after  (0) 2016.11.09
27.9  (0) 2016.11.08
10/29 - 11/4  (0) 2016.11.05
연대  (0) 2016.10.30
2016. 11. 8. 10:24





너무 바빴던 하루였다. 드디어 디펜스 날짜를 잡았다. 

아침부터 모든 종류의 이메일을 처리하며 넋이 나갈 뻔 했지만, 맘속으로 꾹꾹 기도하며 할일을 했다. 

네시쯤 되니 모든 문제가 해결되었다. 집에 와서 엄마와 영상통화를 하며 늦은 점심을 먹었다. 


염려하지 않는 삶을 살고 싶다. 불안해하지 않고, 비교하지 않고. 

나의 achivements를 과소평가하지 않고. 언젠가 흉하게 엎어져도 괜찮으니까 도중에 포기하지만 않고 싶다.   


간밤엔 하기 싫은 것을 하는 꿈을 꾸었다. 

그 하기 싫은 것을 하기 전에 보기 싫은 것을 보게 되었고, 나는 울면서 내 옷을 씻어내다 잠에서 깼다. 

밖은 깜깜했고, 화장실에 가 거울을 보니 아랫 입술 안쪽이 교정기에 하얗게 헐어있었다.  

그냥 개꿈일까 나의 진심일까 아니면 다른 의미가 있는 것일까. 생각해보아도 나는 몰라. 알게 되어도 나는 아무것도 하지 않겠지. 


두달 뒤면 한국 나이로 스물 여덟. 나는 여전히 비겁하고 순진한 사람으로 살고 있다. 

이 와중에도 찰옥수수 아이스크림이 먹고 싶다. 울고 싶다. 아직도 새벽의 꿈이 생각난다. 



'journ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mourning after  (0) 2016.11.09
선거일  (0) 2016.11.09
10/29 - 11/4  (0) 2016.11.05
연대  (0) 2016.10.30
나의 찌질함의 이유  (0) 2016.10.10
2016. 11. 6. 05:11


나른함과 무심함이 매력으로 여겨지는 오늘날. 

이리도 맥없이 부를수가... 하면서도 계속 듣게 되는 김광진의 동경소녀.

수많은 소녀팬들 앞에서도 초연한 그의 모습이 약간 귀여워 ㅋ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lethality of loneliness: John Cacioppo  (0) 2016.11.13
the table  (0) 2016.11.12
Aaron Parks / Invisible Cinema  (0) 2016.11.05
강아솔 / 그대에게  (0) 2016.10.31
J Rabbit / God is Right  (0) 2016.09.25



”Somebody once asked me to find two words that describe the music I make, and the words I picked were ‘spontaneous’ and ‘cinematic." 


“For one thing, Invisible Cinema is what music is, in a sense. You can’t see it. But there’s all this drama between the musicians, all these stories that can be told. Also, I was thinking about actual cinema, and this album has a story line that I wouldn’t spell out to anybody, because I want to leave it open to interpretation. But for me there’s a narration in the sequence and song titles and everything.”


--



Alive in Japan 앨범도 좋다. 

미토 시에서 있었던 2013년 트리오 공연 마지막날 핸드폰 보이스 메모로 녹음한 것이라고 하네. 

애플 뮤직이나 유튜브에는 올라와 있지 않고, http://aaronparks.com/about/ 공식 홈페이지에서 메일 주소를 적으면 링크가 이메일로 온다. 아이쿠 좋아 *ㅁ*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table  (0) 2016.11.12
김광진 / 동경소녀  (0) 2016.11.06
강아솔 / 그대에게  (0) 2016.10.31
J Rabbit / God is Right  (0) 2016.09.25
9와 숫자들 / 숨바꼭질  (0) 2016.09.25
2016. 11. 5. 11:52


10/29 


컴패션에서 오늘은 두꺼운 기프트 카탈로그가 왔다. 

Life-changing gifts under $50은 그 카피도 밑에 나온 상품 사진들도 슬프다. 


알렉스에게 크리스마스 선물을 보냈고, 그 25불에서 그 아이에게 정말로 전해질 것은 얼마만큼이고, 또 어떤 의미일까 생각했다. 

언젠가 만나볼 수 있을까? 그리고 내가 그 아이를 만나는 게 좋은 일일까? ㅎㅎ 


10/31


해피 할로윈! 

이번엔 할렐루야 나잇 행사가 없어서 그냥 조용히. ㅎㅎ 그리고 월요일이야 흑흑 좀 아쉽긴 하다. 

올해는 이 커스튬이 최고인 것 같오. 


  



친구가 울어도 허리를 곧게 ㅋ 진지하게 코스프레에 임하는 모습 ㅋ  

사랑스러워 ㅜㅠ


11/1


잠이 자꾸 안와서 지퀼을 사먹었다. 

자꾸 두시 세시에 자다버릇하니 피부가 정말 하하하

걱정할 것이 많아서 잠을 못자는 것인데, 꼭 약을 먹어야 하나 싶기도 함. 


11/2 


새 총장으로 1.5세 최문영 박사가 임명이 되었다. 


작년 그 난리 이후 새로 자리에 앉은 사람들은 모두가 다 흑인이어서 우리 오피스/친구들 사이에서도 이것이 학교가 지향하는 diversity가 맞느냐, 구색만 맞추려는 인사가 아니냐 하는 비난들이 있었는데 (미주리안에서도 아시안 리더쉽 관련 기사를 쓰고). 나는 좋다. 리서치 학교이면서 지원을 많이 해주지 않는 것이 불만이었던 나는 very academic하다는 그의 디스크립션도 반가울 뿐. ㅎㅎ 학교를 어떻게 이끄시려나. 


그 사태는 우리 모두에게 상처를 주었고, 학교는 인공호흡기를 달며 버티고 있지만

천천히 잘 견뎌내어 더욱 더 단단한 학교가 되었으면 좋겠다. 



11/3 



한국은 너무 추워서 패딩을 입는다는데 이번주 미주리는 꼭 늦봄 날씨 같았다. 

간밤 비가 많이 내렸는데도 오피스 오는 길이 포근했다.


베트남에 사는 아빠가 그랬다. 그곳은 사시사철이 여름이라 시간이 지나가는 것을 모르겠다고. 그것이 가끔 슬프다고. 

대통령 선거가 다음주 화요일인 것을 달력을 보고서야 깨닫고 그 말을 떠올렸다.  


11/4

교수님이 나를 좋아하시는 이유가 궁금했다. 내가 어릴적 그녀를 닮아서도 있겠고, 나의 어리버리한 성격이 사람들로 하여금 챙겨주고 싶은 마음이 생기게 하는 것도 있겠고, 아니면 내가 똑똑하다고 오해를 하고 계신다고도 생각을 했는데. 


며칠 전 다른 사람에게 전해 들은 이야기로는 나는 모르면 모른다고 못하겠으면 못하겠다고 부끄러워하지 않고 고백하기 때문이라고 하셨다. 나는 사실 화요일 발표 이후 내가 너무 한심하고 싫어져서 이곳에 적지도 못했는데 ㅜㅠ 

나의 약함과 부끄러움이 누군가가 나를 좋아하는 이유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하고 그저 감사했다. 

  

그나저나 ICA 홈페이지가 해킹되어 데드라인이 연장되었는데... 

학회 홈페이지를 대체 왜 해킹하는 것일까 -_-; 페이퍼를 내야 하나 쓸 게 없는 사람이 구랬나.. 암튼 감솨욤 ㅎㅎ 





'journ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거일  (0) 2016.11.09
27.9  (0) 2016.11.08
연대  (0) 2016.10.30
나의 찌질함의 이유  (0) 2016.10.10
09. 22. 2016  (0) 2016.09.23
2016. 10. 31. 12:25



도서관에서 가방을 싸다가 문득 강아솔이 생각이 나서 플레이 리스트에 좋아하는 노래를 몇개 추가해두고 밖에 나왔다.

나는 밤에 운전을 하면서 참 잘 우는데, 아마 이 정도 시골에서 차를 끌고 다녀야만 가능한 한 일인 것 같다.


강아솔은 나 그대 대단치 않아도 사랑할 수 있다고 하는데 그녀는 어떤 사람을 어떻게 사랑할까. 그럴 수 없는 것은 무엇이고.

나의 모습이 창피하고 미안해져 엉엉 울었다. 


언제쯤 성숙한 사랑을 하게 될까. 

나는 여전히, 매번, 이기적인 베이직 비치의 연애를 반복할 뿐이다.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광진 / 동경소녀  (0) 2016.11.06
Aaron Parks / Invisible Cinema  (0) 2016.11.05
J Rabbit / God is Right  (0) 2016.09.25
9와 숫자들 / 숨바꼭질  (0) 2016.09.25
Joshua Redman & Brad Mehldau / Always August  (0) 2016.09.10
2016. 10. 30. 05:52






'journ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7.9  (0) 2016.11.08
10/29 - 11/4  (0) 2016.11.05
나의 찌질함의 이유  (0) 2016.10.10
09. 22. 2016  (0) 2016.09.23
의지  (0) 2016.07.25

Social Cognitive Theory of Mass Communication (Bandura, 2001) 


Abstract: Social cognitive theory provides an agentic conceptual framework within which to analyze the determinants and psychosocial mechanisms through which symbolic communication influences human thought, affect and action. 


Communications systems operate through two pathways. In the direct pathway, they promote changes by informing, enabling, motivating, and guiding participants.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은 다이렉트 패쓰 (


In the socially mediated pathway, media influences link participants to social networks and community settings that provide natural incentives and continued personalized guidance, for desired change. 


Social cognitive theory analyzes social diffusion of new styles of behavior in terms of the psychosocial factors governing their acquisition and adoption and the social networks through which they spread and are supported. 


Structural interconnectedness provides potential diffusion paths; socio-cognitive factors largely determine what diffuses through those paths.


Bandura에 의해 제안된 이론으로, 사회적 상황에서의 학습은 환경, 개인 변인과 행동 간의 삼원적 상호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학습에서 중요한 것은 사회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모델링과 조금만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학습자의 신념, 즉 지각된 자기 효능감이다. 


- plasticity: 가소성; 형태가 변하고, 그 외력이 없어져도 그것이 다시 원래 모양으로 되돌아 오지 않는 성질. 

- symbolizing capability: 

- self-regulatory capability 

- self-reflective capability 

- vicarious capability 

- mechanisms governing observational learning

- abstract modeling 

- motivational effects 

- acquisition and modification of affective dispositions 

-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 social prompting of human behavior 

- dual-link versus multipattern flow of influence

- social diffusion through symbolic modeling 

- modeling determinants of diffusion 

- adoption determinants

- social networks and flow of diffusion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Health Belief Model (Rosenstock et al, 1988)


- social learning theory 

- exepectancies 

- incentives

- the health belief model 

- the hbm and sct

- locus of control and self-efficacy

- contribution of self-efficacy to hbm

- contribution of hbm to self-efficacy theory 

- enhancing self-efficacy

- practice implications 

- conclusions






Putting the fear back into fear appeals: the EPPM (Witte, 1992)


Important components of the fear appeal process

- fear appeals 

- fear

- threat 

- efficacy 

- outcome variabels 


a brief history of fear appeal theoretical approaches 

- drive models 

- parallel response model 

- expectancy value theories 

-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 analysis of the current pmt model 

- the lost role of fear in fear appeals 


development of the eppm

- overview of the eppm 

- detailed explication of the eppm

- danger control process 

- the critical point

- the role of fear 


conclusion 






Fear Control and Danger Control: A test of the EPPM (Witte, 1994)


EPPM

- definitions 

- efficacy 

- the eppm 

- the role of fear in the eppm 

- a test of the fear control and danger control process 

- hypotheses 

- summary


method 

- design 

- participants 

- procedure

- the message manipulations 

- threat manipulations 

- efficacy manipulations 

- summary


measures 


discussion 

- the causes of fear 

- the role of fear in message acceptance 

- limitations 

- practical applications: preventing hiv infection 

- conclusions

'boomar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w to be a good advisee  (0) 2017.02.06
Models & Theories: Framing, Psychological Reactance  (0) 2016.10.24
key: "information processing" "UI Design"  (0) 2016.10.20
Models & Theories: EPPM, HBM, SCT  (0) 2016.10.19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0) 2016.10.16

On the Nature of Reactance and its Role in Persuasive Health Communication (Dillard and Shen, 2007)


the theory of psychological reactance

the nature of reactance

reactance as a mediator

two antecedents of reactance

- strength of the threat to freedom 

- trait reactance proneness

- the combined effects of threat and proneness

modeling the reactance process

method 

- message design 

- procedure

discussion 

- the nature of reactance

- antecedents of reactance

- implications for assessing reactance induced by persuasive messages 

- reactance theory and message design 

- attitude-behavior correspondence: flossing, binge drinking, and beyond


summary




The Effects of Frame, Appeal, and Outcome Extremity of Antismoking Messages on Cognitive Processing (Leshner and Cheng, 2009)


message framing

message appeal type

message outcome extremity 

lc4mp

strt, recognition memory, and hypotheses

method 

discussion 




Psychological Reactance and Promotional Health Messages: The Effects of Controlling Language, Lexical Concreteness, and the Restoration of Freedom (Mille ret al, 2007)


psychological reactance theory 

controlling language 

restoration of freedom 

lexical concreteness

method 

measures

discussion 

- reactance and restoration 

- lexcial concreteness 


conclusion 





The Strategic Use of Gain- and Loss-Framed Messages to Promote Healthy Behavior: How Theory Can Inform Practice (Rothman et al, 2006) 


framing health messages: an overview

- detection behaviors 

- prevention behaviors 

- issue involvement: implications for framing 

- unpacking the distinction between detection and prevention behaviors 


message frames and health behavior: a more focused look 


moving beyond the risk implications of the behavior


the application of message framing: using theory to guide practice

 

conclusion 



'boomar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w to be a good advisee  (0) 2017.02.06
Models & Theories: EPPM, HBM, SCT  (0) 2016.10.24
key: "information processing" "UI Design"  (0) 2016.10.20
Models & Theories: EPPM, HBM, SCT  (0) 2016.10.19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0) 2016.10.16